문화학교 강의계획서 |
강 좌 명 |
삶의 미학 맹자(孟子) 화(10시~12시) |
강 사 명 |
박경애(한문교육학박사) |
인 원 |
20명 |
강좌소개 |
어지러운 세상 삶의 나침반이 되는 맹자!
고전에 있는 인문적 가치를 재조명하여
삶의 활기를 주는 한문교육학 박사의 명강의! |
교 재 비 |
15000원 |
재 료 비 |
|
준 비 물 |
맹자책(자체제작) |
주차별 강좌 내용 (12주) |
1주차 |
AI시대 한문고전의 의미, 맹자의 시대적 배경과 중심사상, 맹자의 소명의식, 인문적 사유, 맹자책에 대한 개략적 설명. |
2주차 |
梁惠王章句上 1장 孟子見梁惠王하신대~ 맹자의 핵심사상은 仁義, 何必曰利 그 많은 질문 중에 하필 이익에 대해 붇습니까 仁義가 있을 뿐입니다. |
3주차 |
2장 孟子見梁惠王하신대 王立於沼上이러니~ 문왕의 德治(덕치),
진정한 정치는 與民同樂(여민동락)하는 것입니다 |
4주차 |
五畝之宅에 樹之以桑이면~ 백성을 잘 기르는 양민정치는 물자를 풍부하게 하여 인륜의 기본이 되는 養生喪事(양생상사)를 잘하는 것이 왕도정치의 시작입니다. |
5주차 |
4장 率獸而食人~ 짐승은 살찌고 사람은 굶고. 가혹한 정치에 대해서,
당시 전국시대 제후들의 정치특징에 대하여 |
6주차 |
5장.梁惠王曰 晉國이~ 전쟁하여 천하에 왕 노릇 함이 아니라 천하 백성이 감화를 받게 하는 어진 정치가 곧 왕 노릇 하는 길입니다. |
7주차 |
6장 孟子見 梁襄王하시고~
맹자의 사람을 알아보는 안목, 지인지감(知人之鑑) |
8주차 |
7장 齊宣王曰 齊桓晉文之事를~ 춘추시대 五?들의 가치관과 활약 |
9주차 |
7-4 曰 若寡人者도~ ??章(곡속장)
죄 없는 소가 벌벌 떨면서 사지로 끌려가는~ |
10주차 |
7-8 曰 無傷也라~ 군자는 푸주간을 멀리하는 것입니다. |
11주차 |
7-11 曰 不爲者와 與不能者之形이~ 하지 않는 것와 하지 못하는 것의 차이 |
12주차 |
7-13 權然後에 知輕重하며~
사람이든 일이든 가볍고 무거운 것은 재봐야 합니다.
※ 단 진도는 조정될 수 있음. |